어지럼증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의보감에서의 어지럼증 [광주 어지럼증, 어지럼증한의원- 금호튼튼한의원] 《동의보감》에서는 어지럼증을 현훈이라고 하였습니다. 東醫寶鑑- 현훈 眩暈 (현은 검다, 훈은 돈다는 뜻) 상초가 허해도 어지럽고, 상초에 기가 부족해도 눈 앞이 어지럽다. 이것은 허해서 생긴 어지럼증을 말하는 것이다. 장부와 힘줄, 뼈, 혈, 기의 정기는 경맥과 같이 목계가 되어 위로 올라가 뇌에 들어갔다가 목덜미 가운데로 나온다. 그러므로 몸이 허한 때 목에 사기가 침범하면 그것이 깊이 들어가서 안계를 따라 뇌에 들어간다. 그러면 머리가 돌아가고, 머리가 돌아가면 목계가 켕기고, 목계가 켕기면 눈앞이 어지럽다. 이것은 풍사가 침범하여 생긴 어지럼증이다.(황제내경-영추) 황제내경에 “머리가 아픈데 정수리까지 아픈 것은 하초가 허하고 상초가 실하기 때문이다. 그 원인은 족소음과 족태양에 있다. 병이 심해지..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