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성장치료

성조숙증의 한방치료[광주 성조숙증, 광주 조기성숙, 금호튼튼한의원]

성조숙증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주 원인은 스트레스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스턴트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서 생기는 환경 호르몬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조기성숙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으나 가장 큰 적 중의 하나가 환경호르몬입니다. 비닐이나 플라스틱 제품 등에 열을 가하면 나오는 환경호르몬(대표적으로 비스페놀A)은 아이들에게는 호르몬 분비 교란이나 성조숙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음식에 랩을 씌워 전자 렌지에 데워 먹거나 플라스틱 용기(컵라면 등의 즉석식품) 등에 들어있는 음식을 먹는 습관 등이 주원인입니다. 그리고 식품첨가물이나 색소, 조미료 등도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또 하나의 원인으로 스트레스를 들 수 있는데, 한참 뛰어놀 시기에 너무 앉아서 공부만 하거나 또는 척추와 골격의 틀어짐으로 몸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기타 사춘기 예민한 시기에 받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가 많이 쌓이게 되면 인체 호르몬계를 교란시켜 조기에 생리를 하게 되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성장기에는 운동을 많이 할 수 있는 시간 배정과 함께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최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원인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호르몬 검사를 통해 미리 성조숙을 예방하면서 대처하는 것도 필요한데, 조기 성숙을 잡으려면 혈액검사와 호르몬 검사가 필수가 되겠습니다.

 

여아들이 보통 초등학교 5~6학년 올라갈 때 성장도 잘 일어나지만 조기성숙으로 갑자기 생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미 초경을 시작한 여학생들은 호르몬 검사 결과는 보통 에스트로겐은 낮으나 LH, FSH는 상당히 높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장 배란을 해도 무방할 정도의 수치로 나오는 경우도 많으므로, 초경이 이미 발생한 경우에는 조기성숙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생리를 지연시켜 성장이 가능한 시간을 버는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한방에서 성조숙증(조기 성숙)의 치료는 성장을 촉진하면서 조기 성숙을 지연시키는 체질한약을 처방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 효과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먼저 성장 촉진 및 조기 성숙을 지연하는 체질한약을 복용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혈액 검사 및 호르몬 검사를 실시하여 수치를 확인하여 조기 성숙의 정도를 판단하고, 2~3개월 후 다시 혈액 검사와 호르몬 검사를 실시하여 얼마나 조기 성숙이 지연되었는지를 비교하여 체질한약 복용의 기간을 판단합니다.

 

 

2) 혈액검사 및 호르몬 검사

중요 항목만 표기하였습니다.

 

A. 남자

기본검사항목 작용 특징
IGF-I 인슐린양 성장호르몬 이 수치가 높을수록 성장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또한 체질한약을 복용하면 이 수치가 올라갑니다.
GH 성장호르몬 이 수치도 높을수록 성장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수면과 운동시 분비량이 안정시보다 훨씬 높습니다.
Testosterone 남성호르몬 이 수치가 올라가면 이차성징이 되고, 성장은 하게 되지만, 성장속도는 떨어집니다.

 

B. 여자

 

기본검사항목 작용 특징
IGF-I 인슐린양 성장호르몬 이 수치가 높을수록 성장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또한 체질한약을 복용하면 이 수치가 올라갑니다.
GH 성장호르몬 이 수치도 높을수록 성장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수면과 운동시 분비량이 안정시보다 훨씬 높습니다.
Estradiol(E2) 여성호르몬 여아의 성조숙증 판단 핵심 호르몬으로
이 수치가 올라가면 생리를 시작하게 됩니다.
LH 배란호르몬 여아의 성조숙증 판단 핵심 호르몬으로
이 수치가 올라가면 배란을 시작하게 됩니다.
FSH 배란촉진호르몬
(난소성숙)
여아의 성조숙증 판단 핵심 호르몬으로
이 수치가 올라가면 배란을 시작하게 됩니다.

 

 

성장진단의 예후를 결정하는 혈액검사와 호르몬 검사로 성조숙증을 판단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일반적으로 혈액검사와 호르몬 검사를 내과로 검사 의뢰하여 실시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장을 촉진하면서 조기 성숙을 지연시키는 체질한약을 처방하게 되면 성장호르몬의 수치는 증가하고, 성호르몬의 수치는 감소하게 되는데, 개인차가 큰 편이고, 남녀의 차이도 큰 편입니다.

남학생의 경우 성장호르몬 수치와 성호르몬 수치도 함께 증가하는 경우도 가끔 있는 편이며, 여학생의 경우 성장호르몬 수치는 증가하고, 성호르몬은 보통 감소하는데,

E2는 증가하고 LH, FSH는 감소하거나 LH는 증가하나 E2, FSH는 감소하는 등의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조기 성숙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