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성장치료

녹용의 다양한 효능 [광주 성장치료, 금호튼튼한의원]

녹용의 효능 및 약리작용

 

 

 

<뇌세포 활성화 효과...기침설사도 다스린다.>

 

녹용에 대한 연구 논문들을 보면 뇌세포를 활성화해 뇌 기능을 좋게 하고

기억력과 집중력을 길러주는 데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녹용은 그 효능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요약해 보면 우선

인체의 장기 활동을 왕성하게 하고 면역기능을 높여줍니다.

조혈작용을 강하게 하고

근육과 골격의 힘을 증강시키며

뇌세포 활성화

성 호르몬의 분비를 증강시킵니다.

 

임상실험 결과 녹용은 장기의 활동을 왕성하게 해 피로를 없애주고

잠을 잘 자게 하며 식욕을 돋구어 줍니다.

뇌와 간, 신장의 산소 대사를 촉진시켜주고 심장근육의 수축력을 높여줍니다.

 

그리고, 녹용은 면역기능을 높여 몸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질환을 예방합니다. 조혈작용으로 빈혈이나 산후출혈, 외상출혈 등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등에 현저한 반응을 일으킵니다. 근골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허리와 무릎을 치료하고 골다공증에도 효과가 좋습니다.

 

성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해 정력을 강하게 하며 여성의 배란작용을 활발하게 합니다.

 

특히, 어린아이에게는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발육과 성장에 크게 관여하고

머리도 좋게 하며 기억력을 증진시킵니다.

(통계적으로 여자 아이는 10-14세 때, 남자 아이는 12-17세 때 보통 급성장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녹용이 들어간 성장 한약을 써주면 효과가 아주 좋습니다.)

 

녹용은 신농본초경에 그 약효가 최초로 수록된 이래 우리 나라와 중국 등에서 인삼과 함께 가장 고귀한 한방강장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조혈기능

빈혈 증상은 한방에서 말하는 혈허한 증상과 유사합니다. 혈이 허하다는 것은 혈액검사상의 빈혈을 포함하여 혈액의 구성, 혈액의 순환 능력, 혈액의 생성에 이상이 온 것으로써 불면증과 건망증, 심기불안, 손발 저림, 수족 냉증처럼 혈액 순환이 안된 경우, 여성의 생리 불순 및 피로, 귀의 경우 이명증, 난청이 생기는데 이 모두는 빈혈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보혈하는 처방에 왕성한 조혈능력을 갖고 있는 녹용을 합방하면 단시간에 빈혈이 개선되며 그 효과가 지속적이 됩니다.

 

심혈관계에 대한 녹용의 효능

임상에서도 자주 녹용을 이용하여 약해진 심장을 치료하고 있고, 특히 심장병이 동반하는 요통, 빈뇨증 및 저혈압의 만성 순환장애에 응용되고 있으며 갱년기 순환장애의 치료에도 사용됩니다(李向高, 1978).

 

간장계에 대한 녹용의 효능

녹용은 콜레스테롤을 장기간 투여한 토끼에 녹용의 물추출액을 투여하면 상승된 혈청 콜레스테롤 양이 감소되고 간세포 내에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해가 경감되며 (ATP)의 함량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간조직내에 지질이 침착되는 것도 경감되며, 간세포의 기능이 촉진된다고 하였습니다 (용재익,1976, 1981).

 

스트레스에 대한 녹용의 효능

녹용의 스트레스에 의한 장애 혹은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는 만성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랫트(실험용 생쥐)에 대하여서도 검토되었습니다. 즉 녹용을 두충, 인삼, 비타민을 배합한 제제로 만성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랫트에 투여하고 학습, 성 행동을 검사한 결과 학습 및 성 행동이 저하되는 것이 예방되었으며, 수침으로 스트레스를 준 랫트에서는 녹용을 투여함으로써 궤양이 신속하게 회복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王本祥, 1985).

 

내분비 및 성장 발육에 대한 녹용의 효능

녹용이 갑상선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효과는 항갑상선 화합물인 thiourea를 랫트(실험용 생쥐)에 투여하여 갑상선의 기능을 저하시킨 후 녹용을 투여하였을 때도 이를 회복시켰다는 연구 결과로도 입증할 수 있습니다(김경빈, 1985). 또한, 녹용을 투여한 닭에서는 녹용을 투여하지 않은 닭에 비해 발육 정도가 매우 양호했으며 testeronecortisol함량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배대식, 1975).

 

노화에 대한 녹용의 효능

노화를 촉진시킨 모델 마우스에 녹용의 물 추출물을 8일 동안 연속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혈중 testos terone의 양이 증가하고, 간과 뇌에서 malon dialdehyde의 양이 감소하고, 간 조직 내의 총 단백질의 양과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이 증가하며, 간과 뇌의 막에서 monoamine oxidase B의 활성이 저하되었다고 하였습니다 (Wang , 1988).